목록Python (148)
꿈 많은 사람의 이야기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글에서 다루었던 LangGraph의 기본 개념을 넘어, 한층 더 지능적이고 유연한 LLM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LangGraph의 강력한 기능인 도구(Tool) 사용, 조건부 엣지(Conditional Edge), 그리고 사용자의 개입을 허용하는 사람의 개입(Human-in-the-Loop) 메커니즘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LangGraph를 사용하여 에이전트가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행동을 결정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해서는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작업을 일시 중단했다가 피드백을 받아 재개하는 전체 과정을 상세한 코드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본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참고한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https://github.com/lan..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은 한국은행에서 제공해주는 ECOS API 사용 방법과 Python 활용 방법에 대해서 정리합니다.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떻게 API를 제공해주고 있는 지, 그리고 Python으로 API 호출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참고한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ecos.bok.or.kr/api/#/ 한국은행 Open API 서비스 ecos.bok.or.kr 포스팅 본문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란?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는 한국은행에서 생산하는 다양한 경제 통계 자료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통화, 환율, 유동성 지표, 물가, 금리, 국제수지 등 다양한 분야의 경제 지표를 제공합니다.무엇보다, ..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에서는 LangChain의 확장 라이브러리인 LangGraph를 사용하여 상태 저장(Stateful) 챗봇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일반적인 LLM API 호출은 이전의 대화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무상태(Stateless) 특징을 가집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대화 기록을 영구적으로 관리하고, 대화의 길이에 따라 동적으로 요약본을 생성하여 컨텍스트(Context)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아키텍처를 LangGraph로 구현하는 전 과정을 설명합니다.이번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참고한 LangGraph 공식 문서는 아래와 같습니다.LangGraph Documentation: https://python.langch..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은 구글 코랩(google colab)에서 Ollama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아무래도 요즘은 LLM을 활용해 RAG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많이 수행하게 되는데요. 이때, 로컬에 LLM을 올려두어 사용하기도 하죠. 이때 많이 사용되는 것이 Ollama인데요. 이러한 Ollama를 colab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최근에 개인적으로 해야할 상황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은 코랩에서 ollama을 실행해서 LLM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합니다.포스팅 본문구글 코랩은 무료로 GPU도 사용할 수 있고, 구글 드라이브 등에 데이터를 올려둔 상태로 파이썬(Python) 개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서비스인데요. 문제는 HuggingFace..

포스팅 개요전자공시시스템(DART,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은 상장법인 등이 공시서류를 인터넷으로 제출하고, 투자자는 이를 활용해 다양한 기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요즘 주식과 같은 재테크를 활발하게 하면서 기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근해서 분석하고자 하는 니즈가 꽤 있는데요. 기업 분석을 위해서 전자공시 DART에서 제공해주는 API(DART API)를 사용하면 쉽게 기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자공시 DART의 API를 신청하고 파이썬(Python)을 통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예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DART: https://dart.fss.or.kr/main...

포스팅 개요Kipris plus를 사용하면 특허 분석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는데요. 특허청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인만큼 필요한 특허 데이터를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Kipris plus API를 활용해 특허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파이썬(Python)을 활용해 특허 API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kipris plus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plus.kipris.or.kr/portal/main.do " data-og-host="plus.kipris.or.kr" data-og-source-url="https://plus.kipris.or.kr/portal/main..

포스팅 개요본 포스팅은 Local 환경에서 LLM을 실행시킬 때 많이 활용하는 Ollama를 스트리밍(streaming) 형태로 LLM의 응답(response)를 받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Ollama에게 직접 request 할 때와, Python requests를 이용한 방법 그리고 PoC(Proof-of-Concept)으로 많이 활용하는 Python streamlit으로 웹 페이지를 만들었을 때 활용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Ollama란 무엇인지는 본 포스팅에서 소개하지 않습니다. LLM을 로컬 환경에서 실행하고 서버 형태로도 배포 가능한 Ollama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제 이전 포스팅이나, 다른 글들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Ollama란?: https://lsjsj92..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은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RAG)에서 많이 활용되는 벡터 데이터베이스 중 PostgreSQL의 PGVector에 대해서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그 중, PostgreSQL 설치와 extension인 PGVector를 설치하고 실제 SQL query를 실행시켜 동작되는 것까지 작성하며 다음 글에서 실제 RAG 형식으로 동작되는 예제를 작성하겠습니다.본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참고했던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postgresql.org/download/https://neon.tech/postgresql/tutorialhttps://github.com/pgvector/pgvector GitHub - pg..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은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을 쉽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는 vLLM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OpenAI API Server(OpenAI-Compatible Server)로 배포하여 모델을 서빙(serving)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이전 포스팅(https://lsjsj92.tistory.com/668)에서는 vLLM에 대한 설명과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 vLLM을 마치 OpenAI의 API 서버처럼 활용해서 LangChain이나 OpenAI 라이브러리에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vLLM과 관련된 포스팅은 아래와 같습니다.vLLM 사용법과 소개 : https://lsjsj92.tistory.com/668vLLM을..

포스팅 개요최근 OpenAI에서 GPT-4o 등이 나오는 등 LLM(Large Language Models)의 발전은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LLM과 다양한 application, 다양한 domain, 다양한 downstream task와 어떻게 연계할 수 있는가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데요. 본 포스팅은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 영역에서 LLM을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지를 고민합니다. 그리고 추천 시스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민되고 있는 설명가능성(Explainbility)를 해결하기 위해 LLM과 결합해하여 설명가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파이썬(Python) 코드로 예제(example)를 구현해보겠습니다. 본 포스팅 외에도 저는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