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컴퓨터 (50)
꿈 많은 사람의 이야기
자바스크립트 이벤트 자바스크립트에는 onclick과 같은 여러 이벤트가 있다. 다음 표를 보자 이벤트 종류 설명 onclick 해당 객체를 클릭 했을 때 이벤트 onmouseover 해당 객체에 마우스가 올라왔을때 이벤트 onmouseout 해당 객체에서 마우스가 나갔을 때 이벤트 onload 브라우저가 페이지 load를 끝냈을 때 onchange 객체가 바뀌었을 때(select 같은 태그에서) 다양한 이벤트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은 이렇게 있다. 여기서 onmouseover와 onmouseenter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다음 그림을 보자. 이게 onmouseenter와 onmouseover의 큰 차이점이다. mouseenter는 해당 영역에만 적용이 되고 mouseover는 영역을 넘어서 자식에 해당되는..
매우 간단한 계산기 만들기 예제이다. 뭐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본인은 본인 편한데로 했다 Title .btn{ width: 50px; height: 50px; font-size: 18pt; } #calc{ width: 150px; } input#result{ width: 150px; height: 30px; border: 1px solid blue; border-radius: 5px; } function getById(str) { return document.getElementById(str); } var result = getById('result'); var butns = getById('butns'); var arrEvent = new Array(); //배열을 생성한다. 여기에 각 아이..
object자바스크립트에는 object로 데이터를 관리할 수도 있다. name:value 값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var person = {firstName:"John", lastName:"Doe", age:50, eyeColor:"blue"}; 위와 같이 말이다. 예제를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var person = { firstName: "John", lastName : "Doe", id : 5566, fullName : function() { return this.firstName +" "+ this.lastName; } };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 = p..
인터페이스에선 추상 메소드를 빼고 디폴트 메소드도 존재한다. 디폴트 메소드는 인터페이스에서 바로 사용할 수 없고 또한, 추상 메소드가 아닌 인스턴스 메소드이므로 구현 객체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interface RemoteControlIn { //상수 int MAX_VOLUME = 10; int MIN_VOLUME = 0; //추상 메소드 void turnOn(); void turnOff(); void setVolume(int volume); //디폴트 메소드 default void setMute(boolean mute) { if(mute) { System..
자바에서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사용 방법을 정의한 타입이다.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교환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다형성을 구현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객체가 아니라 여러 객체들과 사용이 가능하므로 어떤 객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실행 내용과 리턴값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개발 코드 측면에서는 코드 변경 없이 실행 내용과 리턴값을 다양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인터페이스는 ~.java 형태의 소스 파일로 작성되고 컴파일러(javac.exe)를 통해 ~.class 형태로 컴파일되기 때문에 물리적 형태는 클래스와 동일하다. 단, 소스 작성 시 선언 방법이 다르다. 인터페이스 선언은 class 키워드 대신에 interface를 넣으면 된다. interface Ri{ } 이..
객체를 직접 새성할 수 있는 클래스를 실체 클래스라고 하면 이 클래스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해서 선언한 클래스를 추상 클래스라고 한다. 추상 클래스와 실체 클래스는 상속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추상 클래스가 부모이고 실체 클래스가 자식으로 구현되어 실체 클래스는 추상 클래스의 모든 특성을 물려받고, 추가적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추상 클래스의 용도는 첫째, 실체 클래스들의 공통된 필드와 메소드의 이름을 통일할 목적이다. 실체 클래스를 설계하는 사람이 여러 사람일 경우 실체 클래스 마다 필드와 메소드가 제각기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를 방지하기 위해 상속할 클래스를 만들어 필드와 메소드를 통일시킬 수 있다. Phone 추상 클래스를 상속하는 Telephone과 SmartPhone은..
instanceof는 객체 타입을 확인하는 연산자이다. 이 연산자는 부모 변수가 참조하는 객체가 부모 객체인지, 자식 객체인지 확인 할 수 있다. boolean result = 객체 instance of 타입 즉 좌항의 객체가 우항의 인스턴스 이면 즉, 우항의 타입으로 객체가 생성되었다면 true를 반환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class Parent2 { } class Child2 extends Parent2 { } class InstanceofExample { public void method..
클래스에서 자동 타입 변환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일어난다. 부모 클래스 변수 = 자식 클래스 타입 일때 자동 타입 변환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상황이라 가정하자 이와 같은 상황일때 Cat cat = new Cat(); Animal ani = cat; 또는 Animal ani = new Cat(); 와 같이 타입 변환으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메모리 상태를 그림으로 묘사하면 와 같이 생성이 된다. 즉 변수 타입만 다를뿐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고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선 B b= new B(); C c= new C(); D d= new D(); E e= new E(); A a1 = b; (가능) A a2 = c; (가능) A a3 = d; (가능) A a4 = e; (가..
상속이란, 하위 클래스(자식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부모 클래스)의 멤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부모는 자식에게 자신의 멤버를 제공해준다. 자식은 부모에게 상속 받은것 + 자신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속은 클래스를 재사용하기 때문에 코드의 중복을 줄여준다. 또한 개발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class A { int a = 0; public void method1() { } } class B extends A { public void method1() //부모 메소드 사용 { a = 5;// 부모 필드 변수 사용 } //부모의 메소드를 자식이 재정의함 -> 오버라이딩 } Colored by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객체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왜냐하면 객체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마음대로 다룰 경우 무결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메소드를 통해서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선호한다. 데이터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막고 메소드를 공개해서 외부에서 데이터에 접근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get, set메소드이다(getter, setter 라고도 부른다) setter는 값을 저장(셋팅)하게 유도하는 메소드이다. 반대로 getter는 값을 return받게 해주는 메소드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