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ep learning(딥러닝) (38)
꿈 많은 사람의 이야기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파이썬(Python)의 케라스(Keras)를 이용한 간단한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는 포스팅입니다. 최근에 제가 진행한 추천 시스템 스터디에서 공유한 코드인데 블로그에 올릴까 말까 하다가 그래도 공유하면 좋겠다 라고 생각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 나온 추천 모델은 추천 시스템 모델 중에서도 kaggle에서 제공되고 있는 book 데이터을 활용해서 구현해봅니다. 고급스러운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간단한 행렬 Dot 연산과 fully connected layer를 이용해서 기본적인 추천 모델을 구현하고 소개하고자 합니다. 해당 글에서 소개된 모든 코드는 아래 제 github의 8번에 올려두었습니다. github.com/lsjsj92/recommender_system_..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추천 시스템 논문 중 sequential base 기반 추천 시스템에 관하여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다양한 sequential base recommender system 논문이 있는데 이번 포스팅은 그 중 self-attentive sequential recommendation 이라는 논문을 정리합니다. 논문 제목 그대로 sequential based recommendation(recommender system) 추천과 관련한 추천 시스템입니다. 본 포스팅은 풀잎스쿨 12기 퍼실을 진행하며, 발표했던 자료를 기반으로(PPT를 기반으로) 구성되어서 사진 중간중간에 PPT 요소가 있음을 미리 알립니다. 또한, 해당 논문은 nlp 논문 attention is all you need에..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최근에 제가 읽게되었던 딥러닝 분야의 자연어 처리(NLP) 논문을 읽고난 후기입니다. 어떠한 계기로 자연어처리 논문을 읽게 되었는지, 무엇을 배울 수 있었고 목표를 달성한 지금 어떤 기분인지 등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비록 보잘것 없는 경험이지만, 이 경험이 자연어처리 공부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본문 내용는 본인에 대한 후기 내용이어서 ~습니다 식으로 작성하지 않고 '다, 까' 형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포스팅 본문 2020년 7월 말. 나는 하나의 결정을 하게되었다. 가뜩이나 여러가지 일로 힘든 상황이었고 바쁘기도 했지만 그래도 해야한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건 바로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논문 읽기..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자연어 처리에서 최근 많이 사용하는 subword 분절 방식인 sentencepiece와 huggingface sentencepiece 사용 방법을 정리합니다. 최근에 자연어처리쪽 모델을 다룰 일이 있어서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할 까 하다가 sentnecepiece를 사용해 봤는데 너무 좋은 경험이 되어서 이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제가 참고한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github.com/google/sentencepiece google/sentencepiece Unsupervised text tokenizer for Neural Network-based text generation. - google/sentencepiece github.com github.com/huggingfa..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Tensorflow 2.x 버전을 사용하면서 발견한 에러와 그 해결 방법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저의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python 3.7 tensorflow 2.3 포스팅 본문 포스팅 개요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이번 포스팅은 Python의 tensorflow 2.x 버전에서 겪을 수 있는 에러에 대해 정리합니다. 제가 구성한 tensorflow 버전은 2.3이고 에러는 NotImplementedError: Layer has arguments in `__init__` and therefore must override `get_config`. 라는 에러입니다. 위 에러가 나오게 된 배경 저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위 에러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Open되어 있는 Tensorf..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Python으로 구현하는 추천 시스템(Recommender System with Python)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그 중 이번 포스팅은 Google Play store에도 적용된 방법인 Wide & Deep Learning for Recommender System 논문을 기준으로 진행합니다. 따라서 본 포스팅에서는 Wide & Deep Learning for RecSys 논문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참고한 코드를 보면서 어떻게 추천이 진행되는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해당 추천 시스템 Python 구현 코드는 아래 제 github에 올려두었습니다. (해당 코드는 논문과 100% 일치하지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https://github.com/lsjsj92/recommender_s..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session based 추천 시스템(Recommender system)에 관해서 간단한 리뷰와 삽질 후기입니다. 최근 회사에서 sequential data에 대해서 recommender system을 진행하게 되었었는데요. 그때 여러 방면으로 조사하던 중 Session based recommendation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대표 논문 중 하나인 Session based recommendation with rnn 논문을 알게 되었고 이 논문에서 받은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1주일 동안 개인적으로 시도해 보았던 것(결론은 삽질 ㅠ)들을 글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논문과 해당 논문의 코드는 아래 URL에 있습니다. 논문 : https://arxiv.org/abs/1511..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해 추천 시스템(Recommender system)을 구현하는 포스팅입니다. 그 중 개인화 된 추천 시스템(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을 한 번 만들어보겠습니다. 파이썬(Python)을 활용했으며 라이브러리는 케라스(Keras)를 사용했습니다. 고급진 기술보다 기초적인 수준에 가까운 글이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이번 추천 시스템의 목적은 뉴스 추천 시스템입니다. ==참고 사항== 본 글에 나오는 Dataset은 제가 임의로 만든 Dataset입니다. 그래서 현실적인 면에서 조금 동떨어질 수 있습니다. 부디 참고 부탁드리며 Insight만 얻어 가시길 바랍니다. 또한, 본 포스팅 글은 지난 번에 작성한 ..

지난 포스팅에 seq2seq 모델을 적용시켜서 기계 번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자연어 처리 번역 즉, 기계 번역(NMT)은 규칙 기반부터 확률, 통계 기반으로 시작하여 현재 딥러닝을 활용해 기계 번역을 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배웠죠 또한, 그 중심에 seq2seq 모델이 있다는 것도 배웠습니다. 하지만 seq2seq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 한계는 바로 번역이 잘 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그래서 어텐션 메커니즘이 나오게 됩니다. Attention Mechanism은 무언가에 집중한다는 개념입니다. 이 어텐션 메커니즘의 효과는 정말 어마어마합니다. 현재 자연어처리 분야에 있어서 어텐션 메커니즘을 안쓰는 곳이 없기 때문이죠. 또한 인공지능, 딥러닝 분야에서도 핫한 기술이기도 합니다. 이..

요즘 Keras를 사용하다가 PyTorch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PyTorch는 또 다른 딥러닝 라이브러리이죠 윈도우에서 지원이 미약하다가 이제는 좀 잘 되는 것 같은데요 ㅎㅎ PyTorch가 version이 up 되면서 1.1.0 버전이 나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PyTorch를 윈도우 10에서 (windows 10)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그리고 GPU도 실행시키구요 저는 CUDA 버전이 9.0인데요 먼저 윈도우에서 cuda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부터 보죠! cuda version check in windows 바로 cmd를 켜서 nvcc --version을 하시면 cuda version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release 9.0이라고 나와있네요! 이렇게 cuda 버전을 확인했으면 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