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hatGPT (8)
꿈 많은 사람의 이야기

포스팅 개요최근 에이전트(Agent)라는 용어가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 AI Agent 형태의 서비스와 개발 방법론 등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본 포스팅은 이러한 인공지능 에이전트(AI Agent)에 대해서 정리하는 문서입니다. 이때, Galileo에서 제공해준 Mastering AI Agents 라는 자료를 기반으로 AI Agent란 무엇이며,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RAG)와 AI Agent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AI Agent에는 어떠한 종류와 방법론이 있는지, 어떨 때 AI Agent를 써야하는지, AI Agent르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정리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참고한 Mastering AI Agent 자료는 아래와 같..

포스팅 개요본 포스팅은 ChatGPT와 같은 LLM 모델들에 대한 보안 문제, 구체적으로 탈옥(Jailbreak) 문제를 다룬 논문인 Constitutional Classifiers: Defending against Universal Jailbreaks across Thousands of Hours of Red Teaming 논문을 리뷰하는 포스팅입니다. 본 논문은 클로드(Claude) 계열의 모델(Claude Sonnect, Haiku 등)을 만든 회사인 앤트로픽(Anthropic)의 Safeguards Research Team에서 작성한 논문입니다. 본 논문은 LLM의 취약점 중 하나인 Jailbreak 공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하고 방어할 지 연구하였으며 Red Team을 활용해 3,000시간 이상..

포스팅 개요본 포스팅은 글또 10기(글쓰는 또라이가 세상을 바꾼다, 글쓰는 개발자 모임)를 시작하면서 다짐하는 다짐글입니다.4기부터 시작한 글또를 어느덧 10기까지 참여하게 되었는데요(중간에 9기는 결혼 스케줄 때문에 참석 못하였음). 이번 기수까지 진행하면 3년이라는 시간을 채우게 될 것 같습니다.글또 10기에는 어떻게 활동하고 싶은지, 어떤 생각과 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글또 : www.facebook.com/groups/geultto/글또 4기 다짐글 : lsjsj92.tistory.com/576글또 4기 회고글 : lsjsj92.tistory.com/595글또 5기 다짐글 : https://lsjsj92.tistory.com/603글또 5기 회고글 : https://lsjsj9..

포스팅 개요 이번 포스팅은 저 이수진의 2023년 회고를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정말 많은 일이 다양하게 있었던 23년인데요. 23년에 겪었던 일들과 경험 그리고 솔직한 마음을 23년을 돌아보며 일기 느낌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2023년을 마치면서 2023년을 마치면서 참 여러 생각이 든다. 정말 여러 가지 일들이 많이 터졌던 해였던 것 같다. 그만큼 여러 가지로 바빴고 정신이 없는 한 해였다. 그리고 매번 느끼지만, 시간이 정말 너무너무 빠르다. 2022년만큼 일과 공부적으로 바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공부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이 2022년보다 줄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결혼, 이사가 있었다. 당연히 공부보다 이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에 2023년은 공부에 투자하는 시간을 줄이고..

포스팅 개요 본 포스팅은 글또 8기(글쓰는 또라이가 세상을 바꾼다, 글쓰는 개발자 모임)를 마무리하면서 쓰는 회고글입니다. 어느덧 글또 활동을 한 지, 기수 시간(1기수당 6개월)기준으로 2년 반이라는 시간이 지났는데요. 참 시간이 빠른 것 같습니다. 지난 글또 활동을 하면서 작성한 회고글과 다짐글은 아래와 같으며, 본 포스팅은 8기 회고글로 작성해봅니다. 글또 : www.facebook.com/groups/geultto/ 글또 4기 때 다짐글 : lsjsj92.tistory.com/576 글또 4기 마무리 회고글 : lsjsj92.tistory.com/595 글또 5기 다짐글 : https://lsjsj92.tistory.com/603 글또 5기 회고글 : https://lsjsj92.tistory.c..

포스팅 개요 최근 OpenAI에서 ChatGPT의 공식 API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ChatGPT는 계속해서 이슈가 대두되고 있는 굉장한 모델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Python) 환경에서 OpenAI의 ChatGPT API를 활용해 추천 시스템(recommender system)을 간단하게 구현해보려고 합니다. 본 포스팅 외에도 최근 저는 OpenAI의 API 활용법에 대해서 궁금해 아래 2가지 글을 작성했습니다. 혹시 OpenAI GPT 모델을 파인튜닝(fine-tuning)하거나 GPT3.5 모델을 Python으로 간단하게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Python OpenAI API를 활용해 GPT3.5 활용하기 : ht..

포스팅 개요 최근 OpenAI의 ChatGPT가 각광을 받으면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LLM 모델, 그 중 chatgpt의 전신이 되는 gpt3.5를 활용하기 위해서 openai의 api를 활용해 간단한 파이썬 예제(Python example)을 살펴보았는데요. 하지만, 모델을 사용하는 입장으로 파인튜닝(Fine-tuning) 과정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penAI의 GPT 계열 모델을 어떻게 Fine-tuning해서 사용하는지 정리해봅니다. ChatGPT API가 공개 되었습니다! 해당 포스팅을 작성한 지 1주가 지난, 3월 2일 chatgpt api가 공개 되었습니다. 본 포스팅은 gpt..

포스팅 개요 최근 OpenAI chatGPT가 각광을 받으면서, 저도 ChatGPT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이미 OpenAI에서 GPT 계열의 모델들은 API를 제공해주고 있고 그 중 ChatGPT의 전신이 되는 GPT3.5의 버전의 모델을 API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글을 작성하는 현 시점(23년 2월 2째주)에는 chatgpt가 api로 나오진 않았고 web에서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한국에서도 ChatGPT plus로도 사용해볼 수도 있게 나왔네요.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OpenAI GPT3 모델들의 API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파이썬 예제(Python example)로 살펴봅니다. 그리고 간단하게 slack으로 GPT3를 활용하는 응용 예제도 살펴보겠습니다. 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