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챗봇 (3)
꿈 많은 사람의 이야기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에서는 LangChain의 확장 라이브러리인 LangGraph를 사용하여 상태 저장(Stateful) 챗봇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일반적인 LLM API 호출은 이전의 대화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무상태(Stateless) 특징을 가집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대화 기록을 영구적으로 관리하고, 대화의 길이에 따라 동적으로 요약본을 생성하여 컨텍스트(Context)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아키텍처를 LangGraph로 구현하는 전 과정을 설명합니다.이번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참고한 LangGraph 공식 문서는 아래와 같습니다.LangGraph Documentation: https://python.langch..

포스팅 개요이번 포스팅은 저의 티스토리 블로그 글을 활용한 AI Q&A 챗봇(Chatbot) RAG를 만들어본 포스팅입니다. PostgreSQL의 PGVector를 사용해서 벡터 데이터베이스(vector database)로 사용했고, Python의 랭체인(langchain)과 ollama, FastAPI, Streamlit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저장, LLM 통신, 챗봇 Q&A 화면을 구성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성2. 티스토리 블로그 크롤링 및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3. 데이터 청킹(Chunking) 및 벡터(Vector) 추출 후 저장4. FastAPI를 이용한 Ollama LLM 통신5. Streamlit을 활용하여 Q&A C..

포스팅 개요 최근 OpenAI chatGPT가 각광을 받으면서, 저도 ChatGPT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이미 OpenAI에서 GPT 계열의 모델들은 API를 제공해주고 있고 그 중 ChatGPT의 전신이 되는 GPT3.5의 버전의 모델을 API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글을 작성하는 현 시점(23년 2월 2째주)에는 chatgpt가 api로 나오진 않았고 web에서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한국에서도 ChatGPT plus로도 사용해볼 수도 있게 나왔네요. 본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OpenAI GPT3 모델들의 API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파이썬 예제(Python example)로 살펴봅니다. 그리고 간단하게 slack으로 GPT3를 활용하는 응용 예제도 살펴보겠습니다. 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