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 & 데이터베이스 (119)
꿈 많은 사람의 이야기
요즘 IT 기술이 날로 발전하다 보니 정말 편리한 기능들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못 따라갈 정도로 편리한 기능이 많이 나오고 있어요 그 하나가 언젠가부터 생긴 모바일 네이버에 있는 동그라미입니다. 처음 볼 때는 이게 뭘까? 했습니다. 그러고 사용해보니 재밌는 기능이네요 사용자 편리를 위한 그런 기능이더라고요 이게 뭐냐면요~ 사용자가 입력하는 곳의 커서를 바꿔주는 기능입니다. 음 어떻게 설명해야 쉬울까요 내가 검색 하다 보면 수정할 부분을 클릭을 해서 글씨를 지우고 다시 쓰죠? 근데 클릭이 잘 안될 때가 있습니다. 글자가 겹치는 등의 문제로요! 그걸 해결해주는 기능입니다~ 이 사진 보시면 아실 것 같아요! 편리한 기능이네요!
안녕하세요~ 저번 글까지 펄의 서브루틴, 펄을 이용한 웹 페이지 출력 등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하나씩 정리해보자 라는 생각으로 블로그에 정리를 시작했는데요 어느덧 자료가 많이 쌓였네요 하루에 1시간도 공부를 못하긴 하지만 그래도 짬짬히 공부했더니 많이 쌓였네요 어쨋든 이번에는 이 서브루틴을 이용해서 웹 페이지에 출력하려고 합니다. 일종의 함수화이죠 해시의 값에 따라 테이블 개수가 달라지는 방식인데요 처음엔 아래 사진 처럼 진행될 것입니다. 그리고 해시 개수를 늘리면 아래 사진처럼 될 것입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서브루틴의 구조는 바뀌지 않는다!입니다. 단지, 전달해 주는 값만 바뀌는 거죠 바로 소스코드 보여 드리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이번에는 펄을 이용해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 펄에 자바스크립트를 적용하려면 당연히 웹 페이지로 제작을 해야겠죠? 간단하게만 사용해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사용 방법만 알면, HTML과 Javascript를 적용하실 줄 아시는 분들은 척척 하실 거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펄을 지금 보고 계신 분들은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이 있으신 상태에서 오셨을꺼라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선 perl을 먼저 배우지 않고, C, Java 같은 언어를 먼저 배우고 오고 또, 펄이 익숙한 언어는 아니라고 생각해서 입니다. ) 진짜 간단하게 사용방법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먼저 페이지 숨기기 기능이에요 이렇게 할 겁니다! 제 블로그 순서대로 따라 오셨다면 웹 페이지에 출력하시는..
이제 펄에 대해서 어느정도 지식을 쌓았습니다 펄 설치부터 일반 변수(스칼라), 반복, 조건, 배열, 해시 등 많은 것을 알아봤는데요 이번엔 서브루틴을 알아볼까합니다. 서브루틴은 흔히 java나 c에서 쓰이는 함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펄에선 서브루틴이라고 불립니다~ 펄 글은 프로그래밍 지식이 조금은 있으신 분들이 보실 것 같은데요 혹시 몰라 함수가 뭐지? 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하면요! 함수는 일종의 기능을 결집해 놓은겁니다. 더하기 기능을 만들어서 필요때 마다 쓰고, 빼기 기능을 만들어서 필요때 마다 쓰고요 이런식이죠 ㅎㅎ 그럼 간단한 더하기 서브루틴을 만들어볼까요? 일단은 서브루틴의 간단한 개념을 봅시다. 펄에서 함수(서브루틴)은 sub로 시작합니다. sub 이름{ 기능 } 구성으로 진행되죠 간..
어제 새로운 컴퓨터에 자바랑, 이클립스를 설치하다가계속 이클립스가 설치가 안되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alert 창이 뜨면서 이클립스에 있는 .log 파일을 확인하라고 하네요.그래서 확인해보니까org.eclipse.e4.core.di.InjectionExceptio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at org.eclipse.e4.core.internal.di.InjectorImpl.internalMake(InjectorImpl.java:410) at org.eclipse.e4.core.internal.di.InjectorImpl.make(InjectorImpl.java:318) 이런 오류가 뜨더라구요 문제는 이거였습니다. ..
펄에는 해시라는 요소가 있습니다. 해시는 key 와 value 쌍으로 이루어진 값이죠. 쉽게 설명하면 일종의 인덱스입니다. 김씨는 ㄱ 칸에서, 이씨는 ㅇ 칸에서 찾는 뭐 그런거죠 해시는 %로 시작합니다. 이런 그림으로 진행할거에요! fred라는 큰 틀안에 키, 값을 넣을겁니다. 그럼 fred를 만들어볼까요? %fred = ( ); 끝입니다. 해시를 만들었어요 이제 값을 넣으면 되죠 1 2 3 4 5 6 7 $fred{"aaa"} = "bbb";#배열과는 접근하는 방법이 다르다. 배열은 []로 접근하고, 넣을땐 ()로 넣었. #해시에 값을 넣는 방법. $fred{234.5} = 456.7; #키 "234.5", 값 456.7 print($fred{234.5}."\n"); #출력하는 방법. $로 접근해서 출..
펄 배열 2번째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몇몇 특징과, push, pop에 대해서 볼까해요! 먼저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who = (qw(fred array soojin lee))[2,3]; #이런식으로 잘라서 넣을 수도 있다. print($who[0].", ".$who[1]."\n "); @fred = (7,8,9); @barney = (2,1,0); @backfred = @fred[@barney]; #barney가 2,1,0 이니까 $fred[2] 와 같은 값이 들어간다. -> 슬라이스로 들어가게됨 #@fred[2,1,0] 또는 ($fred[2], $fred[1], $fred[0]), 또는 (9,8,7) 과 동일하다. for($i = ..
펄에는 배열이란것이 있습니다.(거의 모든 언어가 다 있지만..) 배열이란 것은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변수를 담아두는 겁니다. 예를 들어 $a $b 를 선언하면 연속된 메모리 공간이 아닌 멀리 떨어진 메모리 공간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열로 선언하면 연속적으로 붙어 있게 되죠. 펄에서 배열을 사용하는 방법은 @arr = () 처럼 사용하게 됩니다. @는 배열이라는 일종의 표시에요 1 2 3 4 5 6 7 8 9 10 @words = ("camel", "llama", "ap"); #배열은 위와 같이 @로 시작하고 값을 넣게 된다. #push, pop으로 값을 넣을 수도 있다. #만약 인용부호를 안두고 작성하는 방법은 @word2 = qw(camel llama ap); #로 하면 된다고 한다. #그리..
펄에도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주석이 있죠! 주석은 프로그램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설명을 써놓는 부분입니다.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줄 주석과 여러줄 주석! 한줄 주석은 # 으로 시작해요! 여러줄 주석은 =pod =cut 으로 진행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pod 이것은 펄의 여러 줄 주석이다. 펄은.. 그냥 Larry라는 사람이 쉽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스스로 만든 언어이다. 귀차니즘이 많은 프로그래머였음 펄은 함수 혹은 클래스와 같은 루틴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에 있는 Perl문 전체가 실행될 하나의 큰 루틴이다. 즉, C에서와 같은 main루틴은 없다. Perl은 인터프리터 + 컴파일러 라고 한다. 인터프리..
펄에도 역시 조건문(if)문이 있습니다! 다른 언어랑 비슷해요 if~else로 구성되어 집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rint("당신의 이름은? \n"); $name = ; #사용자가 입력하는 방법이다. print $name; #근데 $name의 값은 종료하는 뉴라인 하나를 갖는다. -> aab라고 입력하면 aab\n이 된다.이것을 제거 하기 위해 chomp함수를 사용한다. #chomp함수는 스칼라 변수를 그것의 유일한 인수로 받아서 만약 존재한다면 변수의 문자열 값에서 뒤에 오는 뉴라인을 제거한다. chomp($name); print("Hello $name! \n"); #이런식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if($name eq "soojin"){ #eq는 문자..